RDS를 사용하는 것의 장점 (EC2에 DB를 직접 배포하는 것과 비교)
- RDS는 관리형 서비스입니다:
- 자동 프로비저닝 및 운영 체제 패치
- 특정 시점으로의 복구를 위한 지속적인 백업 및 복원 (포인트 인 타임 복구)
- 모니터링 대시보드 제공
- 읽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읽기 복제본 제공
- 재해 복구를 위한 멀티 AZ 설정
- 업그레이드를 위한 유지 관리 윈도우
- 확장 가능성 (수직 및 수평 확장)
- EBS(gp2 또는 io1)로 백업된 스토리지
- 단점:
- 인스턴스에 SSH로 접근할 수 없음 → OS 커널을 직접 작동하지 못한다는 의미
RDS – 스토리지 자동 확장 (Storage Auto Scaling)
- 동적 스토리지 증가 지원:
- RDS DB 인스턴스의 스토리지를 동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음
- 자동 확장 기능:
-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가 부족할 때 RDS가 자동으로 스토리지를 확장
- 수동으로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를 확장할 필요가 없음
- 최대 스토리지 임계값 설정 필요:
-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의 최대 한도(최대 스토리지 임계값)를 설정해야 함
- 자동 스토리지 수정 조건:
- 사용 가능한 스토리지가 할당된 스토리지의 10% 미만일 때
- 낮은 스토리지가 최소 5분 이상 지속될 때
- 마지막 수정 이후 6시간이 경과했을 때
- 불규칙한 워크로드에 유용함:
- 예측할 수 없는 워크로드를 가진 애플리케이션에 유용함
- 모든 RDS 데이터베이스 엔진 지원
RDS 읽기 복제본(Read Replicas)을 통한 읽기 확장성
- 최대 15개의 읽기 복제본(Read Replicas) 생성 가능
- 동일 가용 영역(AZ), 가용 영역 간(AZ 간), 또는 지역 간(Cross Region)에서 사용 가능
- 비동기(ASYNC) 복제
- 복제가 비동기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읽기는 결국 일관성(Eventual Consistency)을 가지게 됨
- 복제본의 독립적인 데이터베이스로 승격 가능
- 읽기 복제본을 활용하려면 애플리케이션이 연결 문자열을 업데이트해야 함

같은 리전은 복제 된 안드는데 다른 리전에서는 돈이 든다

재해 복구용 multi az